혐기성 워크스테이션이란

산소(O₂)가 거의 0%인 상태에서 혐기성균(anaerobic bacteria)을
배양하거나 시료를 조작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밀폐형 장비로
내부 공간을 완전 밀폐(airtight)한 구조이며 질소(N₂), 수소(H₂), 이산화탄소(CO₂) 등의
혼합가스로 산소를 제거하여 미생물이
산소에 노출되지 않고 생존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평가 항목

지원 설비 확인

제조사에서 제시한 지원 설비의
목록이 사양과 부합한가 확인하는 항목으로
혐기성 워크스테이션의 경우
전기 공급 전압 확인과 혼합 가스 공급 압력이 있습니다

온도 분포 확인

혐기성 워크스테이션 내부의 온도가 균일한지
확인하는 평가 항목으로 워크스테이션 내부에서의
실험이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행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혐기 환경 확인

혐기성 워크스테이션 내부로 혼합 가스를 주입하여
혐기 환경을 조성한 후 워크 스테이션 내부의
잔존 산소 농도를 확인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사례 모음

1.경기 수원 업체

이번 사례는 혐기성 워크스테이션의
설치 적격성 평가와 운전 적격성 평가를
진행한 사례입니다

지원 설비 확인 항목으로
전기 공급 전압 측정 N가스 공급 압력 측정
혼합 가스 공급 압력을 측정하였습니다

그 다음 워크스테이션의 모서리 4군데와 가로 중간지점
그리고 중앙 지점에 온도 데이터로거를 설치하여
워크스테이션의 온도 분포를 확인하였습니다

워크스테이션 내부를 비운 상태에서
기기 내부에 혼합가스 주입 전, 주입 후, 혐기 환경 조성 후 시점
조성 후 72시간이 경과 후에 잔존 산소 농도를 측정하였습니다

2.용인 연구소

이번 사례는 혐기성 워크스테이션의 설치 적격성 평가(IQ)와
운전 적격성 평가(OQ)를 진행한 사례입니다

지원 설비 확인으로 전기 공급 전압 확인과
혼합 가스/N 가스의 공급 압력을 측정하였습니다

그후 워크스테이션의 위 평면와 아래 평면의
각 모서리와 중앙 지점에 온도 데이터로거를 설치하여
사용자 요구 조건 온도 설정에서 24시간 동안 측정하였습니다

워크스테이션 내부를 비운 상태에서
가스 공급 전/공급 후 충분한 혐기 환경이 조성된 시점/
그 후 24시간이 지난 시점마다 각각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3. 용인 연구소

이번 사례는 혐기성 워크스테이션의
성능 적격성 검사(PQ)를 진행한 사례입니다

워크스테이션 상단부 및 바닥의 평면을
대상으로 각 평면의 네 모서리와 그사이
중앙 지점에 온도 데이터로거를 설치하여
내부 온도를 사용자 요구 조건 온도 설정에 맞춰
24시간 동안 온도 데이터를 수집하였습니다

워크스테이션을 비운 상태에서
가스 공급 전, 공급 후 혐기 환경 조성 완료 시점,
완료 시점에서 24시간 경과 후 각 시점마다 3회 씩
잔존 산소량을 측정하였습니다

궁금한 사항이나 솔루션이 필요하시다면
필요하신 사양과 어떤 용도로 사용하실지 확인 후
본 페이지 하단의 견적문의란에 남겨주시면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언제나 유익한 정보 소개하는 카스스케일 코리아가 되겠습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