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 안전 작업대란
실험실에서 생물학적 시료나 병원체를 안전하게 다루기 위한 핵심 장비로
미생물/세포/바이러스 연구뿐 아니라 제약/병원/QC 분야에서도 필수 장비이며
실험 중 발생할 수 있는 감염성 물질, 에어로졸, 입자로부터
작업자(사람), 시료(제품), 환경(실험실) 을 동시에 보호하기 위해
HEPA 필터(고효율 미립자 필터)로 공기를 정화하며
수직 기류를 형성해 오염을 차단하는 밀폐형 작업 장비입니다
평가 항목
알람 확인
말그대로 생물 안전 작업대의 알람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항목으로
알람이 울리는 상황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알람의 작동 여부를 확인합니다
하 방향 풍속 측정 시험

창틀의 하부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한 수평면 상의 동일 지점을
설정한 다음 작업 공간 전체에 걸쳐 하방향 풍속을 측정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유입 풍속 측정 시험

제조사에서 제시한 시험법에 따라 Arm rest를 제거한 상태에서
BSC sash를 바닥으로 부터 일정 높이로 올린 상태에서
개방된 공간의 정 중앙 높이에서 수직으로 세운 열선 풍속계를 가지고
제조사에서 규정한 간격에 따라 각 측정점에서 BSC 내부로 유입되는 풍속을 측정합니다
HEPA/UILPA Filter 완전성 확인 시험

압축 공기 와 연결된 Aerosol generator에서 발생되어 기기 내부에
주입되는 PAO aerosol은 BSC 내부의 기류 이동경로를 따라 고르게 살포되어
상부 Filter housing으로 이동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음 Digital aerosol photometer를 설정합니다
측정 대상 HEPA/ULPA filter로부터 간격을 두고 일정한 속력으로
Digital aerosol photometer probe를 이동하면서 누락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이동 경로를 조금씩 겹쳐 가며 스캐닝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기류 연무 패턴 시험
BSC 내외부에 Smoke pencil을 가지고 연무를 발동시켜 downfiow의 균일성,
view, screen에서의 dead zone과 reflux가 없음,
work frame edge에서 dead zone과 refiux가 없으면서 내부 공기가 밖으로 탈출하지 않음,
그리고 Sash와 Window에서 내외부 공기가 탈출하지 않음을
측정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소음도 측정 시험



BSC 앞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지점에서 작업대로부터 특정 높이에서
소음계를 고정한 다음 Blower를 끈 상태에서의 소음과 Blower를 가동시킨
상태에서의 소음을 측정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조도 측정 시험



생물 안전 작업대의 형광등을
점멸시킨 상태에서의 조도와 점등시킨 상태에서의 조도를
측정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진동도 측정 시험



작업대 정중앙 위치에 진동계를 고정시킨 다음 Blower를 끈 상태에서의
진동도(Background level)와 Blower를 가동시켰을 때의 진동도(Gross level)를
측정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누전 측정 시험



BSC 작업대에 Digital multimeter를 연결하고 Blower 가동 상태에서
누전되는 전류가 있는 확인하는 평가항목입니다
자외선 측정 시험



BSC에 설치된 자외선등을 점등하여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작업대 정중앙 위치에서
UVmeter로 자외선 에너지양을 측정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입자 계수 시험
작업 면을 세로로 2등분 한 각 면의 정중앙 포인트에서 1m3의 공기 시료를
Particle로 포집하여 공기 중의 입자 계수를 측정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부유 미생물 측정 시험


BSC의 Blower를 켜고 안정화된 상태의 기기 내부에서 Microbial air sampler에
Trypticase soy agar(TSA) 또는 Sabouraud dextrose chloramphenicol agar(SDAC)를
각각 장착하고 멸균캡을 쓰워 100L/min 이상의 힙입력으로 1,000L의 공기를
포집하여 작업대 내부에 부유중인 미생물의 계수를 측정하는 평가합니다
낙하 미생물 측정 시험



BSC의 Blower를 켜고 안정화된 상태의 기기 내부에서
Microbial air sampier에 Trypticase soy ager(TSA) 또는
Sabouraud dextrose chioramphenicol agar(SDAC)를 뚜껑을 열고
1시간 동안 하 방향 기류에 노출 시켜 낙하하는 미생물을 측정하는 평가 항목입니다
사례 모음
1.서울의 어느 병원 연구소

이번 사례는 병원에서 사용하는 생물 안전 작업대의 성능 적격성 평가(PQ) 사례입니다

교정 받은 줄자를 이용하여 창틀의 하부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한 수평면 상의 동일 지점을
설정한 다음 작업 공간 전체에 걸쳐 하 방향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UV lamp와 IV bar를 제거하고 장비에 표시되어 있는 Sash의 개방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10cm 상부 위치에서 해당 측정점에서의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제조사에서 제시한 시험법에 따라 Arm rest를 제거한 상태에서 BSC Sash를 바닥으로 부터
7.6cm 높이로 열고 개방된 공간의 정 중앙 높이(3.8cm)에서 수직으로 세운 열선 풍속계를 가지고
제조사에서 규정한 간격에 따라 각 측정점에서 BSC 내부로 유입되는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압축 공기와 연결된 Aerosol generator에서 발생되어 기기 내부에 주입되는
PAO aerosol은 BSC 내부의 기류 이동 경로를 따라 고르게 살포되어 상부 Filer housing으로
이동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 다음 Digital aerosol photometer를 설정하였습니다
측정 대상 HEPA/ULPA filter로부터 2.5cm 간격을 두고 약 5cm/s 속력으로
Digital aerosol photometer probe를 이동하면서 누락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이동 경로를 조금씩 겹쳐 가며 스캐닝 하였습니다
BSC 내외부에 smoke pencil을 가지고 연무를 발생시켜 downflow의 균일성, view, screen에서의
dead zone과 reflux가 없음, work frame edge에서 dead zone과 refiux가 없으면서
내부 공기가 밖으로 탈출하지 않음, 그리고 Sash와 Window에서 내외부 공기가 탈출하지
않음을 측정하였습니다






BSC 앞에서 30cm 떨어진 지점에서 작업대로부터 38cm 높이에 소음계를 고정하고
Blower를 끈 상태에서의 소음과 Blower를 가동시켰을 때의 소음을 각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BCS에 설치된 형광등을 점멸시킨 상태에서의
조도를 측정하고 점등 상태에서의 측정하였습니다






BSC 작업대 정 중앙 위치에 진동계를 고정하고
Blower를 끈 상태에서의 진동도(Background level)와
Blower을 가동 시켰을 때의 진동도(Gross level)를
각 3회씩 반복측정하였습니다



BSC 작업대에 Digtal multimeter를 연결하고
Blower 가동 상태에서 누전 전류를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BSC에 설치된 자외선 등을 점등하여 안정화 될때까지 기다린 다음
작업대 정중앙 위치에서 UV meter로 자외선 에너지양을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작업 면을 세로로 2등분 한 각면의 정중앙 포인트에서
1m3의 공기 시료를 Particle counter로 포집하여 측정하였습니다


BSC의 Blower를 켜고 안정화된 상태의 기기 내부에서 Microbial sampler에
Trypticase soy agar(TSA) 또는 Sabouraud dextrose chloramphenicol agar(SDAC)를 각각 장착하고
멸균캡을 씌워 100L/min 이상의 흡입력으로 1,000L의 공기를 포집하였습니다





BSC의 Blower를 켜고 안정화된 상태의 기기 내부에서
Microbial air sampler에 Tryptiase soy agar(TSA) 또는 Sabouraud dextrose chloramphenicol agar(SDAC)를 위치하고 뚜껑을 열어 1시간 동안 하 방향 기류에 노출시켰습니다
측정 위치는 작업 면을 9등분 한 가상면의 사방 모서리와 정중앙 지점의 5포인트로 하였습니다
2.서울 금천구 업체

이번 사례는 산업체에서 사용하는
생물 안전 작업대의 성능 적격성 평가(PQ) 사례입니다

교정 받은 줄자를 이용하여 창틀의 하부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한 수평면 상의 동일 지점을
설정한 다음 작업 공간 전체에 걸쳐 하 방향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UV lamp와 IV bar를 제거하고 장비에 표시되어 있는 Sash의 개방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10cm 상부 위치에서 해당 측정점에서의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제조사에서 제시한 시험법에 따라 Arm rest를 제거한 상태에서 BSC sash를 바닥으로부터
7.6m 높이로 열고 개방된 공간의 정 중앙 높이(3.8cm)에서 수직으로 세운 열선 풍속계를
가지고 제조사에서 규정돤 간격에 따라 각 측정점에서 BSC 내부로 유입되는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압축된 공기와 연결된 Aerosol generator에서 발생되어 기기 내부에 주입되는 PAO aerosol은
BSC 내부의 기류 이동 경로를 따라 고르게 살포되어 상부 Filter housing으로 이동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 다음 Digital aerosol photometer를 설정하였습니다
측정 대상 HEPA/ULPA filter로부터 2.5cm 간격을 두고 약 5cm/s 속력으로
Digital aerosol photometer probe를 이동하면서 누락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이동경로를 조금씩 겹쳐 가며 스캐닝 하였습니다
BSC 내외부에 Smoke pencil을 가지고 연무를 발생시켜 downfiow의 균일성, view, screen에서의
dead zone과 reflux가 없음, work frame edge에서 dead zone과 reflux가 없으면서
내부 공기가 밖으로 탈출하지 않음, 그리고 Sash와 window에서
내외부 공기가 탈출하지 않음을 측정하였습니다






BSC 앞에서 30cm 떨어진 지점에서 작업대로부터 38cm 높이에 소음계를
고정하고 Blower를 끈 상태에서의 소음과 Blower를 가동시켰을 때의
소음을 각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BSC에 설치된 형광등을 점멸시킨 상태에서의 조도를 측정하고
점등 상태에서의 조도를 측정하였습니다






BSC 작업대 정 중앙 위치에 진동계를 고정하고 Blower를 끈 상태에서의
진동도(Background level)와 Blower를 가동시켰을 때의 진동도(Gross level)를
각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BSC 작업대에 Digital multimeter를 연결하고 Blower 가동 상태에서
누전 전류를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BSC에 설치된 자외선 등을 점등하여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작업대 정중앙 위치에서 UV meter로 자외선 에너지양을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작업 면을 세로로 2등분 한 각면의 정중잉 포인트에서 1m3의
공기 시료를 Particle counter로 포집하여 측정하였습니다


BSC의 Blower를 켜고 안정돤 된 상태의 기기 내부에서 Microbial air sampler에 Trypticase soy ager(TSA)
또는 Sabouraud dextrose chloramphenicol agar(SDAC)를 각각 장착하고
멸균캡을 씌워 100L/min 이상의 흡입력으로 1,000L의 공기를 포집하였습니다





BCS의 Blower를 켜고 안정화된 상태의 기기 내부에서 Microbial air sampler에
Trypticae soy agar(TSA) 또는 Sabouraud dextrose chloramphenicol agar(SDAC)를
위치하고 뚜껑을 열어 1시간 동안 하방향 기류에 노출 시켰습니다
측정 위치는 작업 면을 9등분 한 가상면의 사방 모서리와 정중앙 저점의 5포인트로 하였습니다
3.서울의 어느 업체

이번 사례는 서울 어느 업체에서 사용하는
생물 안전 작업대의 성능 적격성 평가 사례입니다

교정 받은 줄자를 이용하여 창틀의 하부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한 수평면 상의 동일 지점을 설정한 다음 작업 공간 전체에 걸쳐
하 방향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UV lamp와 IV bar를 제거하고 장비에 표시되어 있는 Sash의 개방 높이를 기준으로 하여
10cm 상부 위치에서 측정점에서의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제조사에서 제시한 시험법에 따라 Arm rest를 제거한 상태에서
BSC sash를 바닥으로부터 7.6cm 높이로 열고 개방된 공간의 정 중앙 높이(3.8cm)에서
수직으로 세운 열선 풍속계를 가지고 제조사에서
규정한 간격에 따라 각 측정점에서 BSC 내부로 유입되는 풍속을 측정하였습니다

압축 공기와 연결된 Aerosol generator에서 발생되어 기기 내부에 주입되는 PAO aerosol은 BSC 내부의
기류 이동 경로를 따라 고르게 살포되어 상부 Filter housing으로 이동하여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 다음 Digital aerosol photometer probe를 이동하면서 누락되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이동 경로를 조금씩 겹쳐 가며 스캐닝 하였습니다
BSC 내외부에 Smoke pencil을 가지고 연무를 발생시켜 downfiow의
균일성, viow, screen에서의 dead zone과 reflux가 없음, work frame edge에서
dead zone과 refluw가 없으면서 내부 공기가 밖으로 탈출하지 않음, 그리고
Sash와 window에서 내외부 공기가 탈출하지 않음을 측정하였습니다






BSC앞에서 30cm 떨어진 지점에서 작업대로부터 38cm 높이에 소음계를 고정하고
Blower를 끈 상태에서의 소음과 Blower를 가동시켰을 때의 소음을 각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BSC에 설치된 형광등을 점멸시킨 상태에서의 조도를 측정하고
점등 상태에서의 조도를 측정하였습니다






BSC 작업대 정 중앙 위치에 진동계를 고정하고 Blower를 끈 상태에서의 진동도(Background level)와
Blower를 가동시켰을 때의 진동도(Gross level)를 각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BSC 작업대에 Digital multimeter를 연결하고 Blower 가동 상태에서 누전 전류를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측정값과의 참고를 위해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누전 전류를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BSC에 설치된 자외선 등을 점등하여 안정화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작업대 정중앙 위치에서
UV meter로 자외선 에너지양을 3회 반복 측정하였습니다
작업 면을 세로로 2등분 한 각 면의 정중앙 포인트에서 1m3의
공기 시료를 Particle counter로 포집하여 측정하였습니다


BSC의 Blower를 켜고 안정화된 상태의 기기 내부에서
Microbial air sampier에 Trypticase soy agar(TSA) 또는
Sabouraud dextrose chloramphenicol ager(SDAC)를 각각 장착하고
멸균캡을 씌워 100L/min 이상의 흡입력으로 1,000L의 공기를 포집하였습니다





BSC의 Blower를 켜고 안정화된 상태의 기기 내부에서 Microbial air sampler에
Trypticase soy agar(TSA) 또는 Sabouraud dextrose chloramphenicol agar(SDAC)를
위치하고 뚜꺼을 열어 1시간 동안 하 방향 기류에 노출 시켰습니다
측정 위치는 작업 면을 9등분 한 가상면의 사방 모서리와 정중앙 지점의 5포인트로 하였습니다
궁금한 사항이나 솔루션이 필요하시다면
필요하신 사양과 어떤 용도로 사용하실지 확인 후
본 페이지 하단의 견적문의란에 남겨주시면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언제나 유익한 정보 소개하는 카스스케일 코리아가 되겠습니다








No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