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차전지를 생산하는 공정 설비에 사용되는
AND 계량/계측기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먼저 2차 전지란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저장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게 만드는 전지입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식 배터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인디케이터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빈번하게 진동발생하는 현장에 맞춰
AND의 최신 인디케이터에는 High Performance Digital Filter(HPDF)가
내장되어 있어 진동을 제거해줍니다
또한 단순히 진동을 제거해주는 것만이 아닌 인버터로 인한 노이즈, 험 노이즈를
포함하여 Analog to Digital에 유효하지 않은 기타 노이즈 제거에도 탁월한 효과 보입니다
AND사는 Analog to Digital 기술을 중점적으로 연구 및 개발해 왔습니다.
기존의 제품들도 높은 정밀도를 보였지만 HPDF기술의 접목으로 로드셀로 부터의
미소 전압을 안정적으로 필터링해주며 로드셀의 분해능을 1/200,000까지 사용이 가능합니다
AND사는 BCD, RS-485, 4~20mA 등의 일반적인 통신 외에도
CC-Link, DeviceNet/IP까지 다양한 통신 모델을 지원합니다
2. 로드셀
AND사는 일본의 기술력을 이어 받아 국내에서 로드셀을 개발 및 생산하고 있습니다
원천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스트레인 게이지부터 로드셀 제작 및 검사까지 모두 진행하며
초기부터 ISO9001 및 각종 인증 받은 검증된 프로세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1. ULK 시리즈 – 원료 라인과 롤 프레싱에 적용된 범용 로드셀
500kg~500t까지 다양한 용량의 로드셀이 존재하며,
원료 호퍼라인 롤 프레싱 공정, 포메이션/에이징 고정을 폭넓게 사용됩니다
2.2. LC8406 시리즈 – 원료 호퍼 라인용
100kg~10t까지 다양한 용량이 있으며 스틸 재질과 SUS630타입이 있습니다
2.3. LCB22 시리즈 – 와인딩 외 모든 공정에 적용되는 Safety Load cell
6kg~60kg까지의 용량에 대응되며 종합 오차 0.02% 이하의 고정밀 로드셀로
일본에서 설계되어 국내에서 제작 후 전세계로 수출된 상품입니다
2.4. CM/CMX 시리즈 – 슬리팅, 웰딩 외 각종 힘 계측용
1kg~20t까지 다양한 용량이 있으며 로드셀의 사이즈가 극단적으로
작아 여러 자동화 공정에 적용하기 적합합니다
2.5. AD4212C – 고정밀 디지털 로드셀
디지털 센서는 인디케이터를 거치지 않고 PLC 등과 다이렉트로 접속이 가능하여
공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센서에서는 RS-232C 데이터가 출력되지만 RS-485,Modbus-RTU,
CC-Link, Ethernet/IP 컨버터 등을 통해 원하시는 통신을 적용하실 수 있습니다
2.6. AD4212F – Higher Capacity / Same Accuracy
센서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4단계로 구분하여 내부에 충격을 발생 일시와 충격의 정도를
기록하며 해당 데이터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공헌합니다.
3. 리모트 컨트롤러 / 컨버터
3.1. AD8922A-리모트 컨트롤+통신 출력
캘리브레이션, 영점 조작, 프린트, 범위 전환, 응답 속도 전환 등의 다양한 컨트롤이 가능한
외부 표시기입니다
3.2. AD8923-리모트 컨트롤러+통신 출력
AD8922A에 비해 더 컴팩트한 사이즈로 판넬 공간 활용성이 좋으며 컨트롤로부터 RS-232C가
아닌 CC-Link 또는 BCD를 출력합니다
3.3. AD8551-Din-rail 타입 통신 컨버터
RS-232C 통신을 받아 Modbus-RTU 또는 CC-Link로 출력을 변한해 줍니다
3.4. AD8552EIP-DIn-rail 타입 통신 컨버터
AD4212C 4대의 RS-232C 데이터를 입력 받아 2 포트의 EtherNet/IP로 변환하여
출력해 줍니다
4.테스트기
4.1. RPT-3000W – 강체 진자형 물성 시험기
강체 진자 자유 감쇄 진동법에 의해 집전재 상에 성층되는 전극 재료의 건조, 경화 시의 최적 조건을
잡기 위한 유효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4.2. RV-10000 – 진동형 레오미터
각종 기재와 코팅 용액 재료의 젖음성을 평가하는 것은 부착성 확보를 위해 주요하며
실용적인 범위에서의 젖음성을 쉽게 평가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4.3. MCT/STB/RTI – 만능 재료 시험기
각 소재의 발전, 충방전 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한 강동 확인이 안전성에 크게 기여하기에
각 소재는 재료 자신의 인장 압축 시험 시의 특성 평가, 적충재 등의 접합성 평가, 전극에 사용되는
알루미늄 박이나 동박의 접착성 평가 등을 하게되며 정척 시험 시 강도 특성과 같은 팽창에 의한
파열도 평가됩니다
No Comments